이산화탄소가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6대 온실가스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고 한다. 최종 에너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재생에너지, 신에너지에 관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에너지 원별 이산화탄소 배출 규모
석유> 휘발유 : 2.2㎏ / 1ℓ
석유> 경유 : 2.6㎏ / 1ℓ
석유> 프로판 : 3.0㎏ / 1㎏
석유 >등유 : 2.5㎏ / 1ℓ
석유> B-C : 3.2㎏ / 1ℓ
석탄> 무연탄 : 2.2㎏ / 1㎏
석탄> 연료용 유연탄 : 2.3㎏ / 1㎏
도시가스> 도시가스 : 2.5㎏ / 1N㎥
<출처: 에너지 열량 환산기준(2017) , 국가 온실가스 배출계수>
휘발유: 액체상태의 석유 유분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용도별로 자동차용, 항공기용, 공업용 휘발유로 구분합니다.
경유: 현재는 대부분 고속 디젤 엔진의 연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디젤 오일이라고도 부릅니다.
프로판: 석유 정제 시에 부산물로 생산된다. 일반적으로 액화석유가스, 냉매 등으로 사용
등유: 일반적으로 보일러 연료, 난방 연료, 페인트 용제 등으로 사용
B-C: 우리나라 석유제품 중 수요가 가장 많은 중유(Fuel Oil)의 한 종류로 대형 공장, 일반 연료용 등으로 사용.
무연탄: 연소과정에서 연기 생성이 없는 휘발성 함량이 14% 이하 인 석탄으로 대한민국에서 생산되는 석탄은 주로 무연탄이라고 하며 주로 난방용으로 사용.
연료용 유연탄: 연소과정에서 연기생성이 있는 휘발성 함량이 14% 이상 인 석탄으로 전량을 수입에 의존한다. 화력발전소 등에 사용.
도시가스: 일반적으로 LNG를 기화시켜 각 가정으로 공급하는 가스를 말합니다.
LNG: 대량 수송과 저장을 위해 천연가스를 영하 162도로 냉각시켜 부피를 1/600으로 압축시킨 무색 투명한 액체로 가정용, 산업용, 발전용 등에 연료로 사용된다.
사람이 에너지를 생산하고 에너지를 소비하는 활동은 환경(사람의 생활 환경, 기후 환경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1차 에너지
오랜 세월 동안 자연적으로 형성된 천연 상태의 가공되지 않은 에너지.
1차 에너지 종류
석유, 천연가스, 석탄, 수력, 풍력, 태양열, 지열 등
최종에너지
1차 에너지를 소비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변환·가공한 에너지
최종에너지 종류
휘발유, 경유, 등유, 전력, 도시가스, 지역난방 온수(열에너지) 등
재생에너지
자연에서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자원을 에너지로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
재생에너지 종류
태양, 풍력, 수력, 해양에너지, 지열에너지, 바이오에너지, 폐기물에너지, 수열에너지
바이오에너지: 살아있는 생물체로부터 생겨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
폐기물에너지: 사용하고 못쓰게 되어 버리는 제품이나 쓰레기 등을 재활용하는 것으로 에너지 함량이 높은 폐기물들을 여러 가지 기술에 의해 연료로 만들거나 소각하여 에너지로 사용하는 것.
수열에너지: 물과 외기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
해양에너지: 파력에너지(파도칠 때 사용 할 수 있는), 해수온도차를 이용한 에너지(해수온도차발전), 조력에너지(해수면의 상승 상승하강운동을 이용하는 것)
신에너지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키거나 수소와 산소 등의 화학반응을 일으켜 얻은 전기와 열을 이용하는 에너지.
신에너지 종류
수소에너지, 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중질잔사유 가스화
석탄액화 가스화: 석탄이나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물질들을 제거하여 가스화한 에너지
중질잔사유 가스화: 원유를 정제하고 남은 최종 잔재물을 가스화한 에너지
정리하며
우리나라는 석유를 가공·변환한 최종에너지를 많이 사용합니다.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만은 아닙니다. 산업구조와 규모가 비슷한 나라는 공통적인 현상 일수 있습니다. 다만 주로 많이 사용되는 최종에너지 비율을 얼마나 빨리 줄여나가는가입니다.
참조: 한국석유공사홈페이지, 한국에너지공단홈페이지, 한국전력공사홈페이지, 신재생에너지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