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에서 많이 접하는 용어인 물가. 물가가 올랐다, 물가가 내렸다. 물가가 너무 비싸다 등등 이 물가는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물가는 무엇을 말하는 거지
물가란 물건의 값, 여러 가지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치를 종합적이고 평균적으로 본 개념
물가와 가격은 무엇이 다른가?
물가는 개별 상품 가격 여러 개를 한데 묶어서 평균 낸 값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외식 물가는 밖에서 사먹은 음식 가격을 묶어 평균 낸 값 등)
가격은 매매를 위해 개별 상품에 붙이는 값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라면 한 그릇에 얼마, 떡볶이 1인분에 얼마 등)
시가 또는 시세는 무슨 말?
시가 또는 시세라는 말은 시장 가격을 말합니다.
시장은 물건의 수요자(물건을 사는 자) 와 물건의 공급자(물건을 파는 자)가 만나는 곳입니다. 즉 물건(상품)이 거래되는 곳은 시장입니다.
공급의 법칙 : 가격이 오를수록 공급량이 늘고 가격이 내릴수록 공급량이 줄어드는 것을 말합니다.
수요의 법칙 : 가격이 오를수록 수요량이 줄고 가격이 내릴수록 수요량이 늘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이 두 법칙을 합쳐 수요공급 법칙이라고 말하며 이 두 법칙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시장가격과 수량(판매량, 거래량)을 결정하는 기본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가격을 결정하는 기본 요인은 상품 수급입니다. 여기에 변수(국민소득 증가 또는 국민소득 감소, 인구 변화, 소비자 취향 등)가 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수급 : 수요와 공급을 아울러 이르는 말입니다.
시장에서 공급자의 횡포를 막기 위해서 만들어진 정부 조직으로 공정거래 위원회가 있습니다. 국무총리 직속 중앙행정기관 입니다. 시장에서 물품의 공급자가 하나뿐인 경우나 몇 개밖에 없는 경우는 가격 결정에 공급자가 유리합니다. 이 유리한 위치를 이용하여 멋대로 가격 결정에 개입하는 것을 막고 공정하게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공정거래법에 따라 유도하는역할을 합니다.
독점 시장 : 공급자가 하나뿐인 시장.
과점 시장 : 공급자가 소수인 시장.
독과점 시장 : 두 시장을 묶어서 부르는 말입니다.
생산자 물가와 소비자 물가 지수는
기사나 언론에서 종종 사용되는 생산자물가 지수 소비자물가 지수는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용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생산자물가란
국내시장에서 국내 생산자끼리 대량 거래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종합해 평균한 것입니다.
생산자물가지수(PPI)
생산자들이 판매하는 제품들의 가격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로 국내에서 생산하여 국내시장에 출하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요금(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공장도 가격) 변동을 측정하기 위해 작성한다. 소비자물가지수보다 범위가 넓기 때문에 국가 전체의 물가추이를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소비자물가지수는
각 가정이 생활을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작성하는 통계로 458개의 대표품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생활물가지수는
체감물가를 설명하기 위해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1개 품목으로 작성한 지수를 말합니다.
참조 : 국어사전
https://kostat.go.kr/menu.es?mid=b70101010000 전자정부누리집
https://www.daegu.go.kr/eco/index.do?menu_id=00001058 대구광역시 산업경제생활정보
https://www.moef.go.kr/sisa/dictionary/detail?idx=1411 기획제정부 시사경제용어사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