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애그플레이션과 기후변화 물가 변동 현상의 하나인 애그플레이션이 무엇인지 그리고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기후변화와 애그플레이션의 관계에 대하여 정리해 보려 합니다. 애그플레이션이란 농업을 뜻하는 agriculture와 물가상승을 뜻하는 inflation의 합성어를 말합니다. 농산물의 가격이 오르면서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애그플레이션이라는 용어는 2007년 메릴린치(Merrill Lynch)가 '세계 농업과 애그플레이션'(Global Agriculture & Agflation)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처음 이 용어가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물가 상승을 주도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원유, 천연가스 등 원자재 가격 상승, 곡물 가격 상승, 환율 상승, 임금 상승, 통화량 증가, 인플레이션기대심리 등이 있으며 그 외 많은.. 2023. 8. 31.
스태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은 뭐가 다르지?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과 반대되는 현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면 스태그플레이션은 무엇이 다를까요? 디플레이션과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디플레이션(deflation)은 재화와 전반적인 물가가 하락하는 현상입니다. 인플레이션과 반대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선순환 경제로 기업이 기술 개발 등으로 생산성을 높여서 생산비를 낮추면 생산품의 가격(소비자 가격)이 내려가고 물가가 내려가고 안정적이라면 좋은 현상입니다. 왜냐하면 낮은 물가가 소비(수요)를 늘려 생산(공급)의 확대를 가져오고 고용과 투자가 증가되어 경제 성장세를 이끄는 선순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디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 하락(떨어지면)은 소비(수요)가 공급에 미치지 못하여 물가가 내려가는 현상으로 물가가 하락(떨어진.. 2023. 8. 16.
금융기관과 금융기관의 종류 알아보기 금융거래는 주로 금융기관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금융 관련 서비스를 하거나 금융거래를 중개하는 금융기관과 금융기관의 종류에 대하여 정리해 봤습니다. 금융기관이란 금융거래를 중개하거나 금융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업과 민간기업을 말합니다. 공기업은 중앙정부 또는 지방정부가 자본을 출자하여 설립되었거나 지분이 대부분 정부에게 속해 있는 기업을 말합니다. 금융기관의 종류를 취급하는 금융 서비스 기준으로 나누면 한국은행, 은행, 비은행예금취급기관, 보험회사, 금융투자회사, 기타 금융기관, 공적금융기관, 금융보조기관 등 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 우리나라 금융 시스템의 중심인 중앙은행으로 한국은행 법 (1950년 5월 5일 제정)에 따라 독자 설립·운영되며 은행 하고만 거래를 하며 단순한 금융기관이 .. 2023. 8. 10.
인플레이션은 소비자 물가 상승률? 인플레이션과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무엇일까? 종종 들어본 말이지만 인플레이션이 생기는 원인 그리고 인플레이션의 유형과 경기를 하락 시키는 인플레이션이 주요 경로를 정리해 보았다. 인플레이션(Inflation)은 재화 전반의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재화(goods)는 사람이 원하는 바를 만족시키는 모든 물건. 인플레이션은 왜, 언제 발생할까? 경기가 좋아지면 재화의 수요가 커집니다. 수요가 커지다 보면 어느 순간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가면서 일부 재화의 물가가 오르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 현상이 지속되면 물가 상승세가 확산(다른 재화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되고 재화 전반에 걸쳐 물가가 오를 수 있습니다. 어떤 이유로 때문에 원자재나 임금이 오른 결과로 늘어난 생산비 부담을 다수의.. 2023. 7. 28.
원/달러 환율은 무슨 말일까? 뉴스에서 많이 나오는 용어인 환율에 대하여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환율이 오른다 환율이 내린다 등 원·달러 환율은 무슨 말일까? 환율(foreign exchange rate)은 서로 다른 통화를 바꿀 때 적용하는 교환비율 환율은 자국(예: 대한민국 등)의 통화가 지닌 대외 가치를 알기 쉽게 보여줍니다. 통화(Currecy) : 국가가 공식적으로 지정하여 쓰는 돈으로 유통수단이나 지불 수단으로써 기능하는 화폐를 말합니다. 국제 환율을 말할 때 미국 달러와 나머지 통화 간 교환비율을 기준으로 합니다. 왜냐하면 세계가 미국 달러를 통화 거래에서 가장 많은 결제 수단으로 쓰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미국 달러를 대표적인 기축통화(key currency, world currency)라고 부릅니다. 2022년 세계 주.. 2023. 7.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