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ay

보여진다는 것 - enjoydo

by 엔조이두 2023. 3. 30.
반응형

토요일 오전 운동도 할 겸 도서관에 가기로 하고 운동화 끈을 묶고 도서관으로 향했다. 특별히 보고 싶은 책이 있는 것은 아니었지만 눈에 띄는 책이 있으면 읽어보기로 생각하고 있었다. 도서관에 도착하여 책장을 돌아다니다 청소년 책장에 눈에 띄는 책이었다 제목이 보여진다는 것.

 

 

보여진다는 것 - 기획자의 말과 차례

우리는 나 자신을 남에게 보여 주기 위해 꾸미기도 하지만 보여 주고 싶지 않은 자신을 감추기도 해요.
보여진다는 것은 복잡한 사회, 문화적 사건이에요.
보여진다는 것. 그렇게 보여진다는 걸 내가 안다는 사실로 인해 우리 삶에는 복잡한 상황들이 생겨납니다. 

' 보여진다는 것 기획자의 말에서'

 

차례

 

보여지는 나

타인의 시선

시선의 힘, 시선의 능력

사랑의 시선은 왜 특별한가?
보여지고 싶은 욕망
셀카는 사진이기만 한 것이 아니다.
세상 속에 있는 나
세상을 바꾸어 가는 나

 

보여진다는것 표지

 

보여진다는 것 - 독후감

보여진다는 것을 읽으며 생각하게 된 부분을 적어 봅니다.

거울 속의 나를 보는 시선 속에서 이렇게 보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할 때 나를 보고 있는 시선의 주인은 누구 일가요?라는 물음은 일상생활 속에서 꽤 오랫동안 잊고 지냈던 물음이었다. 나는 거울을 볼 때 단정한 모습으로 보이길 바라며 거울 보고 단정 한다. 그것은 나 스스로와 타인에게 보이는 모습을 생각하기 때문이다.

 

발견되는 나. "타인과의 만남으로써 나는 타인에게 발견되면서 동시에 나 자신에게도 발견된다. 이를 발견이라 말한 이유는 이 순간에 생겨나는 자기의식의 특성 때문이고 이 순간에 나는 사회적 존재가 된다. 발견되는 나는 비활동적인 나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내가 어떤 행위에 적극적으로 몰입하고 있지 않은 상태"라는 것이라고 말한다.

발각되는 나. "다른 사람에게 보여지는 나를 의식하지 못한 채 무엇인가에 몰두해 있던 나"라고 말한다.

 

발견되거나 발각되는 나는 특정한 상황 속에서 있는 나입니다. 이 사실이 나를 이중적이고 복잡한 성격 그리고 나의 하루하루는 이 사이에서 줄타기하듯 이루어진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타인의 시선을 의식한다는 것은 나의 인생에서 언제인지 모르지만 자연히 학습된 것 같다. 너무 타인의 시선을 의식한다면 나는 어떻게 될까? 지금 나는 타인의 시선을 더 많이 의식하고 살고 있지는 않은지 스스에게 질문을 던져본다. 

 

반응형

셀카는 사진이기만 한 것이 아니다. 글의 내용과 무관할 수도 있지만 문득 아이들이 생각났다. 우리 집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는 가족과 사진 찍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거부 반응을 보인다. 왜 그럴까?

여자아이는 핸드폰에 저장된 사진 중 절반가량은 셀카 사진이거나 친구들과 찍은 사진이다. 저자의 말과 같이 특정한 상황이 아닌 자신이 원하는 순간 보여지고 싶은 자신의 욕망에 충실한 사진이 셀카인가. 보여지고 싶은 나. 나의 생각이 왠지 다른 곳으로 흘러가는 것 같다.

 

보여진다는 것을 읽으며 나 자신의 의식도 생각해 보게 되었다. 내가 너무 갈팡질팡하지는 않았나. 너무 타인의 시선을 무시하지는 않았나 생각해 보게 된다. 균형을 잡고 살아간다는 게 나에게는 이렇게 어렵다.

청소년이 있는 가정이라면 권장해 주고 싶은 책이다.

 

보여진다는 것. : 제목

김남시 : 지은이

너머학교 : 펴낸곳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