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습

cover_item_thumbnail CA 100+는 투자자 관점에서 보는 2가지 형태의 기후 위기다 기후변화로 인한 기후위기는 점점 우리 실생활에 변화와 위기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세계에서 기업 투자로 이익을 보는 투자 기업들의 기후위기 대응방법 CA100+는 무엇일까요? CA 100+ (Climate Action 100+)는 무엇을 하는가? CA 100+(Climate Action 100+) 구성 목적은? 세계의 투자자들이 세계 최대의 온실가스 배출 기업이 기후 변화에 대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투자자가 주도하는 이니셔티브(initiative)입니다. 장기적인 주주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투자한 회사에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계획과 실천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기후 변화(기후 위기)에 대응하지 못하는 기업이 늘어나면 이런 기업에 투자한 주주들의 이익도 감소하고 미래의 이익도 장기적인 이익도 보장.. 2023. 11. 14.
cover_item_thumbnail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방법: RE100과 CFE는 무엇? 기후변화에 의한 기후위기에 세계 각국의 기업들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으며 OECD국가는 어느 정도까지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은 누가 주도했지 RE100은 무엇인가 RE100은 재생에너지 전기(Renewable Electricity) 100%의 약자로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Carbon Disclosure Project)와 파트너십을 맺은 다국적 비영리기구인 '더 클라이밋 그룹(The Climate Group)' 주도로 시작된 기업 활동에 필요한 전력의 100%를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산된 전기로 사용하겠다는 전 세계적인 캠페인으로 자발적인 캠페인입니다. 기후변화 따른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함입니다.. 2023. 11. 6.
자원 배분의 문제 : 순수공공재(pure public goods)와 준공공재(quasi public goods) 공공재(public goods)는 경제학에서 비경합성과 비배제성을 가지고 있어 시장에서 공급이 되기 어려운 재화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공공재의 두 가지 속성에 관련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공공재(public goods)의 의미를 풀어쓰면 재화 ·서비스(용역)의 생산이 이루어지면 구성원 모두가 소비혜택을 누릴 수 있는 재화·서비스(용역)를 말하는 것으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소비할 수 있으며 어떤 한 사람의 소비가 타인의 소비가치를 감소시키지 않고 똑같은 소비 수준을 가지게 되며 잠재적인 모든 소비자를 배제할 수 없는 재화와 서비스(용역)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공공재의 단점으로는 공공재의 특성에 의해 소비자는 소비에 따른 비용을 지불하지 않으려는 경향을 가지므로 공공재는 시장가격에 따른 자원 배분이 .. 2023. 10. 5.
탄소중립을 위한 G7의 공통적인 핵심 기술 개발 분야는 세계 주요 나라가 탄소 중립을 위한 핵심 기술 정책을 발표하며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어떤 분야의 기술을 핵심 기술로 선정하여 국가적인 정책적인 지원을 하는지 세계 주요 나라의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한 공통적인 핵심기술 개발 분야와 개발 분야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탄소 중립을 위한 세계 주요나라의 공통 핵심 기술 개발 분야 7. 수소, 해상풍력, 태양광, 저탄소 수송, 산업공정 효율화,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기술(CCUS), 저탄소 바이오연료 분야가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 분야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기술 내용 수소 물, 유기물, 화석연료 등의 형태로 존재하는 수소를 분리, 생산하여 활용하는 기술 해상풍력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로터 블레이드에서 흡수, 기계적 에너.. 2023. 9. 20.
몇 촌간이지? 촌수와 가족 호칭, 나이대별 한자 호칭은? 촌수와 친족 간의 호칭 그리고 나이별 한자 호칭을 간단히 정리해 보았다. 오랜만에 친족을 만나면 어떤 관계인지, 소개할 때도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이를 간단히 정리해 보자. 촌수(寸數)는 족 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기 위하여 고안된 숫자 체계를 가리키는 가족 용어이다. 촌(寸)은 척도법의 한자이고, 우리말로는 '마디'를 뜻하는 말이며, 촌수(寸數)로써 친족 호칭을 대신하기도 한다. 친족(親族) 간 혈통 관계의 멀고 가까움을 수치로 표시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세계의 다양한 친족호칭체계들 중에서도 다른 어느 문화에서 찾아볼 수 없는 우리 고유의 제도라고 합니다. 대한민국 민법 제770조(혈족의 촌수 계산), 제771조(인척의 촌수 계산), 제772조(양자와의 친계 촌수)에 촌수와 촌수의 계산이.. 2023. 9. 7.
반응형